본문 바로가기

Back-End5

REST API 명세 (명명 규칙)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개발자가 따로 있는 경우에는 rest api 명세를 먼저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어느정도 기획 회의를 거쳐서, 간단한 화면 구성도를 보게되면 서버 개발자가 api 명세를 먼저 작성한다. 백엔드 개발자가 spring 을 이용하면 보통 swagger 로 api 명세를 작성하지만, 백엔드 개발자가 여러명이고 실제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는 api 명세를 같이 작성하는데, 이때 api 명세 툴은 postman, gitboo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api 는 보통 RESTful 하게 만드는데, REST 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로 자원의 이름을 구분해서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것을 의미한다. restful 하게 api 를 만들기 위한 몇가지 명명.. 2023. 1. 23.
startup probe (w. liveness, readiness) startup probe 는 컨테이너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startup probe 가 성공해야 readiness (준비성), liveness (활성) probe 가 실행된다. startup probe 설정이 없는 경우 기본 success 상태이다. 참고로 readiness, liveness probe 는 동시에 실행되며, period seconds 설정대로 앱이 살아있는 동안 계속 실행된다. 반면, startup probe 는 앱 실행 시점 초기에만 실행된다. 경우에 따라 느리게 시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liveness probe (활성 프로브) 를 추가하면 컨테이너가 실행되지 못하고 계속 죽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초당 수백, 천, 만 단위의 트래픽을 받는 서비스를 .. 2023. 1. 14.
whenever 와 given 의 차이 mockitokotlin2 에 whenever 와 given 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whenever 를 사용해왔는데 given 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담당하게 되었고, 두개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given 의 클래스에 들어가보니 BDDMockto 클래스의 given 을 사용하도록 되어있었다. (whenever 는 그냥 Mockito 클래스를 사용하고 있음) 그럼 BDDMockito 는 무엇인지 궁금해져서 찾아봤다. 결과적으로 두개의 메소드의 기능 자체만 보면 동일하다. 단지, bdd 측면에서 더 코드를 읽기 쉽도록 mockito 의 메소드를 alias 한 클래스이다. 예를들어, bdd 는 given, when, then 으로 시나리오가 동작하는데 mockito 를 사용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코.. 2023. 1. 8.
iptime 외부접속하기 (ssh 접속) 집에 있는 무선 공유기(iptime)를 이용하여 외부(PC, 모바일)에서 내부(PC)로 접속하는 방법을 운영체제가 리눅스(UBUNTU)라 생각하고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외부PC에서 내부PC로 접속) 먼저, 1. 192.168.0.1로 접속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고 로그인을 합니다. (초기암호는 admin 입니다.) 2. 로그인 한 뒤 '관리도구' 버튼을 누릅니다. 3. 왼쪽 메뉴에서 '고급설정' -> '내부 네트워크 설정' 를 눌러줍니다. 4. 표시한 곳에 외부에서 접속하고 싶은 pc의 ip주소와 mac 주소를 입력하고 추가를 눌러줍니다. (리눅스 명령어는 ifconfig 로 확인가능) 5. 왼쪽 메뉴에서 'NAT/라우터 관리' -> '포트 포워드 설정' 을 눌러줍니다. 6. 규칙이름, 프로토.. 2023. 1. 8.